반응형 고려시대단청2 한국 단청의 역사3 - 삼국시대, 고려, 조선 역대 단청 기관 한국 단청의 역사 있어서 역대 단청 기관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다. 국가가 형성된 이후 각 부서 체계가 형성되면서 이와 유사한 기관들이 만들어지고, 왕궁이나 국가의 일에 동원되어 각종 그림을 그리거나 단청을 행하가기도 했을 것이다. 문헌이나 기록상으로 볼 때 당시 왕궁이나 사찰들의 규모가 작지 않았으므로 삼국 모두 화원 양성이 있어 국가적인 지원을 펼쳤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삼국시대의 단청 활동 삼국시대에는 단청기관이 따로 독립되어 있지는 않았을 것으로 추측된다. 화화나 공예, 조각 등의 부서를 총괄하는 기관의 한 부서로 발전해 왔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조선시대에 도화서의 기준에서 화원들도 단청이나 불화 제작에 참여했던 점을 보면 그 이전에도 그림을 하던 이들이 단청을 했을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 2024. 1. 25. 한국 단청의 역사2 - 고려시대의 단청 오늘은 한국 단청의 역사 두 번째 이야기로 삼국시대 이후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단청은 어떠한 형태로 발전되어 왔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사료와 유구를 통해 시기별 건축 양식과 그에 따른 단청의 양상에 대해 살펴보자. 고려시대 단청 고려시대에는 우리나라 건축 양식에 큰 변화가 발생했다. 고려 중기에 송나라에서 들어온 건축 기법인 주심포 양식의 도입과 고려 말기 원과의 교류를 통해 수용된 다포 양식의 도입이 바로 그것이다. 주심포 양식은 기둥의 상부에 가구 구조가 짜이고 처마가 노출되는 연등천장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보를 비롯한 가구재가 건물 내무에 그대로 드러나며 기둥 위 위에만 공포 구조가 만들어지는 형식이다. 다포 양식은 기본적으로 격자 천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보를 비롯한 모든 가구재가 청장에 .. 2024. 1. 25.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