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단청양식1 고구려 고분벽화와 단청 양식의 연계성 우리나라 고대의 단청 양식은 삼국시대 고구려 벽에 그려진 건축 그림, 또는 당시의 건축 형태를 모방한 가옥형 토기 등에서 그 유래를 확인할 수 있다. 고구려 고분벽화는 현재까지 확인된 벽화고분만 해도 만주 집안현 일대에 23기, 평양, 안악 일대에 68기 등 대략 91기에 이른다. 이는 고대 건축 단청의 면모를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고분벽화에는 시기별로 각기 다른 양상을 보이는데 우리는 이를 통해 당시의 목조 건축물의 구조와 이에 따른 다양한 단청 의장 형식을 확인할 수 있다. a1 고구려 고분벽화의 시기별 양상 고구려 고분벽화의 발전 단계는 초기(4세기 중반 ~ 5세기 초반)에는 인물 풍속도, 중기(5세기 중반 ~ 6세기 초반) 인물 풍속도와 사신도, 후기(6세기 ~ 7세기) 사신도가 그려진 .. 2024. 2. 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