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한옥단청2

한국 단청의 역사2 - 고려시대의 단청 오늘은 한국 단청의 역사 두 번째 이야기로 삼국시대 이후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단청은 어떠한 형태로 발전되어 왔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사료와 유구를 통해 시기별 건축 양식과 그에 따른 단청의 양상에 대해 살펴보자.  고려시대 단청 고려시대에는 우리나라 건축 양식에 큰 변화가 발생했다. 고려 중기에 송나라에서 들어온 건축 기법인 주심포 양식의 도입과 고려 말기 원과의 교류를 통해 수용된 다포 양식의 도입이 바로 그것이다.  주심포 양식은 기둥의 상부에 가구 구조가 짜이고 처마가 노출되는 연등천장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보를 비롯한 가구재가 건물 내무에 그대로 드러나며 기둥 위 위에만 공포 구조가 만들어지는 형식이다.  다포 양식은 기본적으로 격자 천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보를 비롯한 모든 가구재가 청장에 .. 2024. 1. 25.
목조건축물에 단청을 하는 목적과 의의 목조건축물에 단청을 하는 목적은 무엇일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단청의 여러 목적에 대해서 이해해 보고 그 의의에 대해서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인류는 자연환경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목재를 이용하여 주거지를 마련했습니다. 문명의 발달과 도구의 사용은 원시 목조 건축 구조의 발전을 뒷받침하게 되었고, 그러한 목조 건축물의 수명을 연장을 위한 보호 조치가 필요했습니다. 목조 건축은 비, 바람 등 자연현상으로 인한 부식과 충해에 취약하고 목재의 표면이 쉽게 갈라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가 바로 '단청(칠)'입니다. 동시에 건축물의 특수한 성격을 나타내거나 격식에 따른 위엄을 드러내기 위해서도 단청은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단청의 목적 4가지 단청의 첫 번째 .. 2024. 1.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