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구려단청2 고구려 고분벽화와 단청 양식의 연계성 우리나라 고대의 단청 양식은 삼국시대 고구려 벽에 그려진 건축 그림, 또는 당시의 건축 형태를 모방한 가옥형 토기 등에서 그 유래를 확인할 수 있다. 고구려 고분벽화는 현재까지 확인된 벽화고분만 해도 만주 집안현 일대에 23기, 평양, 안악 일대에 68기 등 대략 91기에 이른다. 이는 고대 건축 단청의 면모를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고분벽화에는 시기별로 각기 다른 양상을 보이는데 우리는 이를 통해 당시의 목조 건축물의 구조와 이에 따른 다양한 단청 의장 형식을 확인할 수 있다. a1 고구려 고분벽화의 시기별 양상 고구려 고분벽화의 발전 단계는 초기(4세기 중반 ~ 5세기 초반)에는 인물 풍속도, 중기(5세기 중반 ~ 6세기 초반) 인물 풍속도와 사신도, 후기(6세기 ~ 7세기) 사신도가 그려진 .. 2024. 2. 1. 한국 단청의 역사1 - 삼국시대 단청 목조 건축이 본격적으로 발달하기 시작한 삼국시대의 단청은 어땠을까요. 오늘은 한국 단청의 역사 1편으로 고구려, 백제, 신라의 단청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삼국시대의 단청1. 고구려의 단청 고구려 고분 벽화는 고분 주인의 집구조나 생활 풍속을 알 수 있는 인물풍속도와 종교화 그 밖의 기하학적이거나 추상화된 문양 등으로 매우 다양하게 장식되어 있습니다. 고분의 벽화는 고분이 위치한 고구려라는 지역적 특성으로 인해 한국, 중국, 일본은 물론 인접한 서역 계통의 회화적 기법 이 혼재되어 복합적인 화풍을 형성했습니다. 우리는 벽화를 통해 문화 당시 지배계층의 생활모습, 건축서법, 신앙 등의 사회상을 엿볼 수 있습니다. 고구려 고분 벽화의 묘실에는 당시의 건축 양식과 단청의 양상을 보여주는 그림들.. 2024. 1. 2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