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단청색2

단청 안료 3 - 유기안료의 의미와 종류별 특성 오늘날 단청에 사용되는 유기안료는 국립문화재연구소의 실험을 거쳐 문화재청에 의해 다음과 같이 지정되어 있습니다. 지정된 안료의 종류에는 녹색, 장단, 황색, 주홍, 먹색이 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유기안료에 대해서 간단하게 이해하고, 앞의 다섯 가지 유기안료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a1 유기안료란, 유기안료는 동물이나 식물의 성분에서 얻어지는 유기화합물로 만들어진 안료입니다. 탄화수소를 기반으로 하며 불에 잘 타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녹는점이 무기화합물 보다 낮고 물보다는 유기 용매에 잘 녹습니다. 색감이 선명하며 착색력도 좋지만 빛과 열에 약하며 유기 용매에 잘 녹아 색이 쉽게 번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유기안료의 종류와 특징 녹 : 시아닌 그린 시아닌 그린은 유기 화학 안료로 주.. 2024. 2. 16.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의 단청 색조 단청의 색조는 기본적으로 음양오행 사상을 바탕으로 다섯 가지 정색을 사용하고, 상생과 상극의 개념에 따라 혼합색을 만들어 채색한다. 이러한 색조는 고대로부터 적립되어 조금씩 변화되고 발전되어 왔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고대 삼국시대의 단청에서부터 고려시대를 거쳐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의 단청 색조의 발전 과정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a1 삼국시대 단청 색조 고구려의 단청 색조 고구려의 단청 색조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고분벽화의 유례를 살펴보아야 한다. 현재까지 약 90여 개가 발굴된 고구려 벽화고분에는 약 1500년 전 칠이 된 당시 색조가 비교적 양호한 상태로 보존되어 있어 고구려 시대의 화려한 색채 감각을 확인하고 연구할 수 있다. 광복 이후 많은 고분이 발굴되며 채색된 빛깔이 급속도로 퇴색되기 시.. 2024. 2.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