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색채학3

전통 고려불화의 색채와 사용된 안료의 종류 - 천연 석채와 인조 석채 일반적으로 절에 그려진 그림 모두를 불교회화 불화라고 부릅니다. 불화는 불교의 전파를 위해 그림을 통해 불교교리의 내용을 형상화한 모든 그림입니다. 단청을 여러 목적으로 진행하고 있지만 그중에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이 불교회화 전반에 관련한 것입니다. 따라서 단청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불교미술을 필수적으로 공부해야 하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전통 불교회화에서 중에서도 고려시대 그려진 불화에 사용되었던 안료에 대해서 공부해 보겠습니다. 현존하는 최고의 불교회화 작품으로 일컬어지는 고려불화에서 나타나는 색채적 특성은 어떠하며 또한 당시 사용되었던 안료의 종류는 무엇이 있을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a1 고려불화의 색채 고려불화는 천연의 주사, 석록, 석청의 삼색을 기본으로 하는 매우 절제된 색채 구성을.. 2024. 3. 3.
단청 안료 3 - 유기안료의 의미와 종류별 특성 오늘날 단청에 사용되는 유기안료는 국립문화재연구소의 실험을 거쳐 문화재청에 의해 다음과 같이 지정되어 있습니다. 지정된 안료의 종류에는 녹색, 장단, 황색, 주홍, 먹색이 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유기안료에 대해서 간단하게 이해하고, 앞의 다섯 가지 유기안료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a1 유기안료란, 유기안료는 동물이나 식물의 성분에서 얻어지는 유기화합물로 만들어진 안료입니다. 탄화수소를 기반으로 하며 불에 잘 타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녹는점이 무기화합물 보다 낮고 물보다는 유기 용매에 잘 녹습니다. 색감이 선명하며 착색력도 좋지만 빛과 열에 약하며 유기 용매에 잘 녹아 색이 쉽게 번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유기안료의 종류와 특징 녹 : 시아닌 그린 시아닌 그린은 유기 화학 안료로 주.. 2024. 2. 16.
단청 안료 2 - 무기안료의 의미, 종류와 특성 단청에 사용되는 안료는 유기안료와 무기안료로 접착제와 혼합하여 건축물 부재의 바탕면에 칠을 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단청 안료 중 무기 안료의 의미와 종류, 그리고 종류별 특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무기안료란 무기안료란 천연광물질로 만들어진 안료입니다. 단청을 할 때 무기안료는 진채, 당채, 암채, 이채라 하여 광물질 무기 염류가 사용되었는데 이들은 전량 중국에서 수입되는 것이었습니다. 오늘날 단청에 사용되는 무기안료는 국립문화재연구소의 실험을 거쳐 문화재청에 의해 지정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무기안료의 종류에는 지당, 황토, 호분, 양록, 장단, 석간주, 황연, 하엽, 양청, 군청이 있습니다. 이중에서도 백색안료가 대표적으로 쓰이는데 착색용 이외에 다른 안료와 섞어 빛깔을 엷게 하거나 은폐력을 강화.. 2024. 2.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