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음양오행설2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의 단청 색조 단청의 색조는 기본적으로 음양오행 사상을 바탕으로 다섯 가지 정색을 사용하고, 상생과 상극의 개념에 따라 혼합색을 만들어 채색한다. 이러한 색조는 고대로부터 적립되어 조금씩 변화되고 발전되어 왔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고대 삼국시대의 단청에서부터 고려시대를 거쳐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의 단청 색조의 발전 과정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a1 삼국시대 단청 색조 고구려의 단청 색조 고구려의 단청 색조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고분벽화의 유례를 살펴보아야 한다. 현재까지 약 90여 개가 발굴된 고구려 벽화고분에는 약 1500년 전 칠이 된 당시 색조가 비교적 양호한 상태로 보존되어 있어 고구려 시대의 화려한 색채 감각을 확인하고 연구할 수 있다. 광복 이후 많은 고분이 발굴되며 채색된 빛깔이 급속도로 퇴색되기 시.. 2024. 2. 6.
음양오행설과 단청 색채의 이해 단청의 색채는 기본적으로 다섯 가지로 정해지는데 이를 '오채'라 하며 오행설과 결부되어 형성된 것이다. 이 장에서는 음양오행설에 대해서 알아보고, 이 사상을 바탕으로 한 단청의 색채에 대해서 이해해 보고자 한다. a1 음양오행설이란 음양오행사상은 우주나 인간의 모든 현상을 음과 양이라는 두 가치를 기준으로 설명하는 음양설과 이 영향을 받아 만물의 생성 소멸을 목·화·토·금·수라는 오행의 힘으로 여기는 오행설이 함께 묶인 개념이다. 목·화·토·금·수는 고대인의 생활에 불가결했던 5가지 재료를 가리키는 것으로 우주를 운행하는 원기로서 만물을 낳게 한다는 다섯가지다섯 가지 원소를 뜻한다. 이 다섯 가지 요소의 특성이 사물에 각각의 의미를 부여하며 우주의 조화를 설명하고 여타 사상들과의 조합을 통해 일상생활에 .. 2024. 2.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