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채색2 단청 안료 1 - 안료의 의미와 종류, 무기안료와 유기안료 단청을 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안료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안료의 의미를 먼저 이해하고 무기안료와 유기안료로 구분되는 안료의 종류별 특성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a1 안료의 의미와 종류 안료란 물이나 기름, 알코올 등의 용매에 용해되지 않는 유색의 미세한 입자로 된 착색제를 말합니다. 접착제와 혼합하여 칠하면 도막이 형성되며 대상에 색채를 입히는 역할을 합니다. 안료는 크게 무기안료와 유기안료로 구분되며, 무색으로 은폐력이 없이 전색제나 증량제로만 사용되는 체질안료가 있습니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안료는 그 자체로 도막을 형성할 수 없으므로 교착제에 개서 사용하게 되는데요. 도료의 단점을 보완하고 개선하기 위해 보조제도 같이 사용합니다. 보조제로는 주로 가소제, 분산제, 방부제, 방.. 2024. 2. 14. 고구려 고분벽화와 단청 양식의 연계성 우리나라 고대의 단청 양식은 삼국시대 고구려 벽에 그려진 건축 그림, 또는 당시의 건축 형태를 모방한 가옥형 토기 등에서 그 유래를 확인할 수 있다. 고구려 고분벽화는 현재까지 확인된 벽화고분만 해도 만주 집안현 일대에 23기, 평양, 안악 일대에 68기 등 대략 91기에 이른다. 이는 고대 건축 단청의 면모를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고분벽화에는 시기별로 각기 다른 양상을 보이는데 우리는 이를 통해 당시의 목조 건축물의 구조와 이에 따른 다양한 단청 의장 형식을 확인할 수 있다. a1 고구려 고분벽화의 시기별 양상 고구려 고분벽화의 발전 단계는 초기(4세기 중반 ~ 5세기 초반)에는 인물 풍속도, 중기(5세기 중반 ~ 6세기 초반) 인물 풍속도와 사신도, 후기(6세기 ~ 7세기) 사신도가 그려진 .. 2024. 2. 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