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안료3

단청 안료4 - 전통 안료의 종류, 명칭과 특성 전통적으로 단청에서 사용되었던 안료는 단청뿐 아니라 회화나 공예를 비롯한 칠과 관련된 여러 작업에 공통적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오래전부터 전해 내려 온 다양한 단청 안료의 종류와 명칭, 그리고 각각의 특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a1 전통 안료의 명칭과 의미 진채 '진채'란 중국에서 유래한 북종화의 채색을 말합니다. 즉 남종화의 수묵담채 표현과 대별되는 진한 채색법을 말하는 것입니다. 북종화에서는 산수, 화조 및 역사화 등 다방면에 진채를 사용했습니다. 또한 진채는 불화와 단청에 쓰이는 불투명한 안료를 가리키는 것이자 채색 기법 일컫는 말로도 쓰이고 있습니다. 조선시대 단청 안료는 진채, 당채, 암채, 이채라 하여 광물질 무기 염료로 전량을 중국에서 수입해 사용하였습니다. 진채.. 2024. 2. 26.
단청 안료 1 - 안료의 의미와 종류, 무기안료와 유기안료 단청을 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안료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안료의 의미를 먼저 이해하고 무기안료와 유기안료로 구분되는 안료의 종류별 특성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a1 안료의 의미와 종류 안료란 물이나 기름, 알코올 등의 용매에 용해되지 않는 유색의 미세한 입자로 된 착색제를 말합니다. 접착제와 혼합하여 칠하면 도막이 형성되며 대상에 색채를 입히는 역할을 합니다. 안료는 크게 무기안료와 유기안료로 구분되며, 무색으로 은폐력이 없이 전색제나 증량제로만 사용되는 체질안료가 있습니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안료는 그 자체로 도막을 형성할 수 없으므로 교착제에 개서 사용하게 되는데요. 도료의 단점을 보완하고 개선하기 위해 보조제도 같이 사용합니다. 보조제로는 주로 가소제, 분산제, 방부제, 방.. 2024. 2. 14.
음양오행설과 단청 색채의 이해 단청의 색채는 기본적으로 다섯 가지로 정해지는데 이를 '오채'라 하며 오행설과 결부되어 형성된 것이다. 이 장에서는 음양오행설에 대해서 알아보고, 이 사상을 바탕으로 한 단청의 색채에 대해서 이해해 보고자 한다. a1 음양오행설이란 음양오행사상은 우주나 인간의 모든 현상을 음과 양이라는 두 가치를 기준으로 설명하는 음양설과 이 영향을 받아 만물의 생성 소멸을 목·화·토·금·수라는 오행의 힘으로 여기는 오행설이 함께 묶인 개념이다. 목·화·토·금·수는 고대인의 생활에 불가결했던 5가지 재료를 가리키는 것으로 우주를 운행하는 원기로서 만물을 낳게 한다는 다섯가지다섯 가지 원소를 뜻한다. 이 다섯 가지 요소의 특성이 사물에 각각의 의미를 부여하며 우주의 조화를 설명하고 여타 사상들과의 조합을 통해 일상생활에 .. 2024. 2.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