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단청기술자16

고려불화의 특징1 - 시대적·사상적 배경과 주제, 양식 및 제작기법 이번 포스팅에서는 '한 시대의 종교는 예술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는 절대적인 사실을 반영하는 고려시대의 불교회화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고려불화의 특징에 대해서 이해해 보기 위해서 당시의 시대적 · 사상적 배경 및 주제의 특성을 짚어봅니다. 그리고 고려불화의 양식적 특징 및 기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a1 고려불화의 특징1고려불화의 시대적 · 사상적 배경고려시대는 거란, 여진, 몽고의 끝없는 침략과 분란으로 인한 불안한 시기였습니다. 고려 후기에는 원의 내정 간섭이 이어지며 백성들의 삶은 피혜했습니다. 이러한 절망적인 현실 속에서도 고려의 예술인들은 직지심체요절, 팔만대장경, 고려청자 등 엄청난 예술작품들을 창조해 냈습니다. 그중에서도 고려불화는 고미술의 걸작이자 동양 채색화의 백미로 여겨질.. 2024. 3. 13.
조선시대 단청의 색조 체계 - 빛(색)의 단계와 휘의 단계 및 배색 지금 우리가 궁이나 절, 서원과 같은 곳에서 볼 수 있는 단청의 색은 조선시대에 확립된 것입니다. 고려시대의 단청 색감은 조선시대의 단청 색처럼 원색의 비율이 높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조선시대에 단청의 색조가 변화하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요. 이번 시간에는 조선시대 단청의 색조가 형성된 과정과 현재까지 이어져온 색의 체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a1 조선시대 단청의 색조20세기 이전 대부분의 단청 안료는 중국에서 수입된 진채를 사용했는데 20세기 초부터는 서양에서 화학안료인 양채가 들어오기 시작했습니다. 조선시대 주로 사용된 단청 안료는 장단 · 주홍 · 황 · 석록 · 석청 · 석간주 등이었는데, 조선 후기에 들어와 양채인 양청과 양록이 수입되어 사용되었습니다. 이러한 기본색에 분과 먹을 혼합하.. 2024. 3. 5.
전통 고려불화의 색채와 사용된 안료의 종류 - 천연 석채와 인조 석채 일반적으로 절에 그려진 그림 모두를 불교회화 불화라고 부릅니다. 불화는 불교의 전파를 위해 그림을 통해 불교교리의 내용을 형상화한 모든 그림입니다. 단청을 여러 목적으로 진행하고 있지만 그중에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이 불교회화 전반에 관련한 것입니다. 따라서 단청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불교미술을 필수적으로 공부해야 하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전통 불교회화에서 중에서도 고려시대 그려진 불화에 사용되었던 안료에 대해서 공부해 보겠습니다. 현존하는 최고의 불교회화 작품으로 일컬어지는 고려불화에서 나타나는 색채적 특성은 어떠하며 또한 당시 사용되었던 안료의 종류는 무엇이 있을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a1 고려불화의 색채 고려불화는 천연의 주사, 석록, 석청의 삼색을 기본으로 하는 매우 절제된 색채 구성을.. 2024. 3. 3.
단청 안료4 - 전통 안료의 종류, 명칭과 특성 전통적으로 단청에서 사용되었던 안료는 단청뿐 아니라 회화나 공예를 비롯한 칠과 관련된 여러 작업에 공통적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오래전부터 전해 내려 온 다양한 단청 안료의 종류와 명칭, 그리고 각각의 특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a1 전통 안료의 명칭과 의미 진채 '진채'란 중국에서 유래한 북종화의 채색을 말합니다. 즉 남종화의 수묵담채 표현과 대별되는 진한 채색법을 말하는 것입니다. 북종화에서는 산수, 화조 및 역사화 등 다방면에 진채를 사용했습니다. 또한 진채는 불화와 단청에 쓰이는 불투명한 안료를 가리키는 것이자 채색 기법 일컫는 말로도 쓰이고 있습니다. 조선시대 단청 안료는 진채, 당채, 암채, 이채라 하여 광물질 무기 염료로 전량을 중국에서 수입해 사용하였습니다. 진채.. 2024. 2.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