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술 이론

조선시대 단청의 색조 체계 - 빛(색)의 단계와 휘의 단계 및 배색

by 바아냐 2024. 3. 5.
반응형

지금 우리가 궁이나 절, 서원과 같은 곳에서 볼 수 있는 단청의 색은 조선시대에 확립된 것입니다. 고려시대의 단청 색감은 조선시대의 단청 색처럼 원색의 비율이 높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조선시대에 단청의 색조가 변화하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요. 이번 시간에는 조선시대 단청의 색조가 형성된 과정과 현재까지 이어져온 색의 체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a1

 

조선시대 단청의 색조

20세기 이전 대부분의 단청 안료는 중국에서 수입된 진채를 사용했는데 20세기 초부터는 서양에서 화학안료인 양채가 들어오기 시작했습니다. 조선시대 주로 사용된 단청 안료는 장단 · 주홍 · 황 · 석록 · 석청 · 석간주 등이었는데, 조선 후기에 들어와 양채인 양청과 양록이 수입되어 사용되었습니다. 이러한 기본색에 분과 먹을 혼합하여 명도를 조절하거나 두 가지 이상의 색을 섞어 다양한 간색을 만들어냈습니다. 이를테면 장단과 혹은 주홍에 백분을 넣어 육색을 만들거나 양청과 양록에도 백분을 넣어 삼청이나 삼록을 만들어서 채색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또한 석간주와 먹을 혼합해 다자를 만들고, 석청과 석록에 먹을 섞어 하엽을 만들어 사용하였습니다. 

고려시대와는 달리 건물의 내부와 외부의 배색을 다르게 하며 외부에는 명도가 높고 화사한 등황색을 사용하고, 실내에는 녹청색을 주색으로 배치해 전체적으로 차분하고 단아한 색감을 표현했습니다. 주변국가와의 교류와 교역 및 침략과 전쟁 등의 혼란한 시대상황 속에서 새롭게 개발된 안료를 받아들이게 되고 그것을 단청에 적용하게 되면서 조선시대 단청의 전체적인 색조가 형성되었던 것입니다. 

빛의단계
출처, 한국의 단청, 빛의 단계

단청의 색 단계

조선시대 단청의 색 단계를 빛이라고 부릅니다. 빛은 명도에 따른 구성으로 초빛과 2빛 3빛까지 세 단계를 기본으로 최대 4빛까지 이루어져 있습니다.  초빛, 2빛 3빛은 초채, 이채, 삼채라고 부르기도 했는데 현재에는 잘 쓰이지 않는 용어입니다. 이러한 빛의 단계적 적용은 특정 문양의 내부에 이루어지고 그 문양의 테두리를 먹선이나 분선으로 마감하면서 문양과 다른 문양의 구분을 명확하게 했습니다.

빛의 단계는 단청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고 있습니다.  모로단청에서는 2빛의 단계로 구성되고 금단청에서는 3빛의 단계를 적용하여 건축물의 특성에 맞는 격을 갖추도록 했습니다. 문양이 화려하고 색의 단계가 높을수록 장엄한 사찰의 법당과 같은 건물의 금단청에 쓰이고, 문양이 단순하고 색의 단계가 낮을 경우에는 궁궐의 부속 건물이나 향교, 서원 등에 행해지는 모로단청에 쓰입니다. 

 

적색계열 색 빛의 배색

장단육색 / 장단 / 주홍

주홍육색 / 주홍 / 다자

장단 / 주홍 / 다자

녹색계열 색 빛의 배색

삼록 / 양록 / 하엽

양록 / 하엽 / 양청(먹)

하엽 / 양청 / 먹

청색계열 색 빛의 배색

분삼청 / 삼청 / 양청

삼청 / 양청 / 먹

황색계열 색 빛의 배색

황 / 장단 / 주홍

 

휘 색대의 구성과 배색

조선시대 중이 이후에는 머리초에 라는 색대가 등장하기 시작했습니다. 휘는 건물의 격식과 부재의 길이에 따라 최소 2단에서 최고 6단계까지 그려졌습니다. 색의 배치는 난색과 한색의 교차 반복으로 배색되어 보색의 대비를 이루게 합니다. 

휘의 배색 단계는 초빛 기준으로 장단, 삼청, 황, 양록, 육색, 석간주의 순서로 고정되어 있으며 3빛까지 적용하여 표현합니다. 휘가 3단 이상으로 구성될 경우 마지막의 휘는 석간주로 마무리합니다. 

 

이상으로 조선시대의 단청 색조가 형성되는 과정과 빛의 배색, 휘 색대의 구성과 배색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렇듯 조선시대에 자리 잡은 단청의 색조는 현재 우리나라 단청의 전형이 되었습니다. 이러한 색의 구조적 특성은 전통 회화와 조각, 공예와 민예 분야에도 공통적으로 이어져내려오고 있습니다. 

 

a2

 

도움이 되는 글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의 단청 색조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의 단청 색조

단청의 색조는 기본적으로 음양오행 사상을 바탕으로 다섯 가지 정색을 사용하고, 상생과 상극의 개념에 따라 혼합색을 만들어 채색한다. 이러한 색조는 고대로부터 적립되어 조금씩 변화되고

vanyastory.com

전통 고려불화의 색채와 사용된 안료의 종류 - 천연 석채와 인조 석채

 

전통 고려불화의 색채와 사용된 안료의 종류 - 천연 석채와 인조 석채

일반적으로 절에 그려진 그림 모두를 불교회화 불화라고 부릅니다. 불화는 불교의 전파를 위해 그림을 통해 불교교리의 내용을 형상화한 모든 그림입니다. 단청을 여러 목적으로 진행하고 있지

vanyastory.com

 

 

참고도서

곽동해 지음 · 김동현 감수 < 한국의 단청>, 학연문화사, 2002

임영주, 전한효 편저 <우리나라 단청1>, 태학원, 2007

댓글